
























[김강원 개인전]
2025. 2. 27 THU --- 2025.3.5 WED
'Drawing Room'
응접실
Gallery H.art bridge
김강원 (KIM KANG WON)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양화전공 졸업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서양화과 졸업
개인전
2025 DRAWING ROOM, H.아트브릿지, 서울
2017 BLINDING MOMENT, 카페 래빗홀, 서울
2016 MODEL HOUSE, 57th 갤러리, 서울
그룹전
2024 서초청년작가전시, 샘미술관, 서울
2024 정류장, 분전함 갤러리 전시, 서초, 서울
2022 동악 페스티벌, 동국대학교 갤러리 동국, 서울
2022 일상의 흠집을 채우는 방법, 갤러리 아트비 프로젝트, 서울
2019 Hotel, Flamingo, AK GALLERY, 수원
2018 김강원 & 안소현 2인전 '휴', 휴맥스아트룸, 분당
2015 ‘자소서’, 갤러리 드 플로허, 서울
2015 ‘감성의 분할( LE PARTAGE DU SENSIBLE)’, 동국 대학교 갤러리 동국, 서울
2015 ‘아시아프’청년미술제, 청년미술제 구서울역사, 서울
2014 ‘Plan A’, 동국대학교 갤러리 동국, 서울
2011 ‘아시아프’ 청년미술제, 홍익대학교, 서울
아트페어
2023 아시아프(ASYAAF),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작가노트]
나의 작업은 평범한 실내 풍경을 담는다. 일상 속에서 포착된 풍경은 타인의 소셜 네트워크, 과시를 위해 업데이트된 쇼룸, 모델 하우스 같은 것들의 이미지들로부터 시작된다. 우리가 직접 보지 못한 이면의 이야기들을 알 수 없지만 타인의 삶을 부러워하고 소유하고 싶은 순간들에 대한 작은 호기심을 발전 시켜왔다. 특별히 실내 풍경으로 제한된 공간은 은밀하게 타인의 욕망을 확대해서 보고 전체에서 보지 못하는 들여다 보아야만 보이는 부분을 ‘자르기(Crop), 확대(Expansion)'를 통해 집중 하였다.
결코 절대적 답이 있는 상황 또는 느낌이란 것은 없으며 사람들이 얼마나 쉽게 타인과 관련된 것들을 자기 기준에 의해서 판단하고 무의식적으로 멋대로 가치를 부여하는지에 대한 고찰을 작품에 녹여낸다.
조형적으로는 차분한 낮은 채도의 색감과 비율 조정으로 캔버스 속 공간에 미묘한 위화감을 만든다. 좋게 보이기 위해 만들어진 공간 속에는 사람의 흔적만 있을 뿐 작품 어디에도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거주공간에 사람의 흔적만 있는 이유는 집(가족이 살아가는 울타리로서의 공간 또는 경제적가치 의미)의 일부처럼 보이지만 평범한 관계를 쌓고 삶의 배경인 온기 있는 공간이 아니라는 것을 의도했다. 마땅한 것들의 부재를 뜻한다.
이처럼 사람들의 일상에서 본래의 기능을 잃은 것들을 찾고자 한다. 거기서 발견한 미세한 모순들을 직시하여 만든 오묘한 위화감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 외로움의 절제된 표현이다. 작품 속 이미지들은 타인을 향한 나의 편견을 되짚어보게 하는 순간들이며 누구나 자연스레 하게 되는 습성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보다는 애잔한 위로가 되기를 바란다.
KIM KANG WON
Master of fine arts, Dongguk university
Bachelor of fine arts, Dongguk university
Solo Exhibitions
2025 The Drawing Room, Gallery H.art bridge, Seoul
2017 BLINDING MOMENT, café rabbit hole, Seoul
2016 MODEL HOUSE, 57th gallery, Seoul
Group Exhibitions
2024 Seocho Youth Artist Exhibition, Sam Art Museum, Seoul
2024 Bus stops, exhibition of the distribution Box Gallery, Seocho, Seoul
2022 Dongak Festival, Dongguk University Gallery Dongguk, Seoul
2022 How to fill in the blemishes of everyday life, Gallery Art B Project, Seoul
2019 Hotel, Flamingo, AK Gallery, Suwon
2018 Kim Kang-won & Ahn So-hyun 2 Person Exhibition 'Hue', Humax Art Room,
Bundang
2015 'Self-introduction', Gallery DeFloher, Seoul
2015 'LE PARTAGE DU SENSIBLE', Dongguk University Gallery, Seoul
2015 'Asif' Youth Art Festival, Youth Art Festival District Seoul History, Seoul
2014 'Plan A', Dongguk University Gallery, Dongguk, Seoul
2011 'ASYAF' Youth Art Festival, Hongik University, Seoul
[Artist Statement]
My work explores ordinary indoor landscapes. Scenes captured in daily life begin with images from others’ social networks, showrooms for being displayed, model-houses. We may not know the hidden stories of others, but we envy the lives of others. And we develop a small curiosity about moments we want to own.
In particular, by “Cropping” and “Expansioning" of the space limited to the indoor landscape, I tried to see through the desires of others that cannot be seen in the whole. My works contain reflections on ‘There are never absolute answers in any situation or feeling’ and ‘How easily people judge things related to other people by their own standards and unconsciously assign value freely’. My art work through calm low saturations and ratio adjustments, a subtle sense of incompatibility was created in the space inside the canvas.
In the space designed to being shown-off, only people traces remain, in reality, no one exists within the artwork.
The reason why there are only human traces left in the painting is that it was intended to look like part of a house(a space that serves as a boundary for a family to live in or has economic value), but it is not really a space that serves as the setting for people's ordinary lives. It means absence of 'what ought to be present’.
I seek to find those things that have lost their original function in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 subtle sense of discomfort that appears in the subtle contradictions in daily life, it was intended to express the fundamental loneliness of humans by restraining them.
The images in my work serve as functions that make people to reflect on their own biases toward others.
I wish that people will be comforting each other rather than criticizing each other about the nature that everyone has.
I intended to express contradictions by depicting a part of the model house(the showroom intended to be shown off that has not fulfilled its purpose and has lost its role and function) using a restrained(low) saturation colors.